□ 제품 분석 1. 서버? - 근거리통신망에서 집약적인 처리기능을 서비스하는 서브시스템을 말합니다.
□ 인증분석 - 서버는 전원과 관련 없이 전자파 인증과 대기전력을 받아야 합니다.
1. 전자파 - 서버는 사용 전원과 관계 없이 ‘전파법’ 및 ‘방송통신기자재등의 적합성평가에 관한 고시’에 따라 적합등록을 받아야 합니다. - 서버에 사용되는 포트 및 통신 방식 등에 따라 시험 셋업이 달라지게 됩니다. - 무선 기능 (블루투스, 와이파이 등)이 있는 경우 RF, RF-EMC 시험이 추가되며, 무선 사양에 따라 시험 비용 및 절차가 달라집니다.
2. 대기전력 - 서버는 아래 기준에 적용되는 경우 대기전력을 추가로 받아야 합니다. - 서버는 제품 검사 후 한국에너지공단에 신고하여 확인서를 발급받아야 합니다.
※ 적용 기준 - 데이터센터나 사무용으로 기업에서 구입하며, 시중에 서버로 유통되는 제품으로 아래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제품 ① 서버용 운영체제를 사용함 ② 오류수정코드(Error-Correcting Code) 또는 버퍼형 메모리 (버퍼형 DIMM 또는 버퍼형 온보드 설정(On board configuration))을 지원함 ③ 정격소비전력 3,000W 이하의 AC-DC 또는 DC-DC 전원장치와 함께 판매함 ④ 모든 프로세서는 공유 시스템 메모리에 접속 가능함
※ 제외 대상 ① 프로세서 소켓이 3개 이상인 서버 ②블레이드 시스템(Blade System) ③폴트 톨러런트 서버(Fault Tolerant Server) ④멀티노드서버는 제외.
- 대기전력 시험을 위해서는 아래 정보도 확인이 필요합니다. 1) 제품 분류 ① 일반형 프로세서 서버 (단일, 듀얼) : 관리형 서버를 제외한 모든 서버 ② 관리형 프로세서 서버 (단일, 듀얼) - 여분의 파워서플라이를 장착 가능해야 함 - 메인 프로세서와 별도로 관리용 프로세서를 장착해야 함. ex) service processor, baseboard management controller 등)
2) 제품 사양 (사진 참고) ① 폼펙터, 프로세서 소켓 개수, 설치된 프로세서 개수, DIMM 슬롯 개수 등 ② I/O Port 개수 (= 1 Gbit, >1Gbit and <10Gbit, ≥10Gbit)
서버의 경우 사용 포트, 내부 장착 기기 등에 따라 비용 및 셋업이 달라지게 됩니다. 또한 CPU, Memory 등이 변경 되는 경우 기술기준변경으로 재시험 후 변경 신고를 진행해야 합니다. 따라서 사양에 따라 모든 제품을 인증 받아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많이 소모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