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품 분석 1. 전동킥보드? - 전기에너지를 동력으로 하고 2개 이상의 바퀴를 가지고 발을 올려놓는 발판이 있고 붙잡고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핸들이 부착되어 있으며 좌석(또는 안장)이 없고 한쪽 발을 발판에 올려놓고 다른 발로 지면을 지침으로 추진력을 얻는 이동기구를 말합니다. 여기서 발을 발판에 올려 놓고 타는 이동기구란 좌석(또는 안장)이 있더라도 좌석(또는 안장)이 탈부착되어 발을 발판에 올려놓을 수 있는 것을 포함합니다.
□ 인증분석 - 전동킥보드는 일반적으로 직류전원 (배터리)을 사용하기 때문에 직류전원을 기준으로 설명 드리겠습니다. - 전동킥보드에 사용되는 충전기와 배터리는 KC 인증 받은 것을 사용해야 합니다. - 충전기와 배터리는 별도의 인증이니 개별 체크하시기 바랍니다.
1. 생활용품 - 전동킥보드의 경우 '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전관리법'에 따라 생활용품 안전확인을 받아야 합니다.
1) 종류 ① 바퀴의 개수별 ② 배터리의 종류별(전압, 용량)
2) 안전요건 - 전동킥보드의 경우 겉모양, 구조시험 등 20가지의 안전요건이 있으며 이중 일부 항목에 대해서 안내드립니다. ① 최대 무게 : 배터리를 포함한 킥보드의 무게가 30 kg 미만이어야 합니다. ② 배터리의 정격전압 : 배터리의 정격 전압은 DC 60 V를 넘지 않아야 합니다. ③ 최고 속도 : 25 km/h 를 넘지 않아야 합니다. ④ 1회 충전주행거리 : 배터리가 완충된 상태에서 (75±5) kg의 하중을 가하고 제조자가 사용설명서에 기재한 연속 주행거리 이상 작동하여야 합니다. ⑤ 제동성능 : 제동성능 및 주행안전성 시험 기준에 따라 시험하며 제동거리가 5 m 이하여야 합니다. ⑥ 방수성능 : 제품의 외함은 물침투로 인해 해로운 영향이 없어야 하고, IPX4를 만족해야 합니다. ⑦ 등판시험 : 제품에 (75±5) kg 의 하중을 가하여 10° 기울어진 등사판 진입 전 1 m 지점에서 출발 후 3 m 구간을 등판시킬 때 2 km/h 이상의 속도로 등판할 수 있어야 합니다. ⑧ 충전기 : 충전기는 전기용품 안전인증을 반드시 받아야 하며 충전기 라벨에 안전인증마크 및 인증번호를 표기하여야 합니다. 충전기의 출력전압은 배터리 정격 전압이상이며, 최대(상한) 충전 전압 이하여야 합니다. ⑨ 배터리 : 배터리는 전기용품 안전확인신고를 완료해야 하며, 배터리에 안전확인표시 (안전확인신고 마크, 안전확인신고번호) 등을 해야 합니다.
2. 전자파 - 전동킥보드는 ‘방송통신기자재등의 적합성평가에 관한 고시’에 따라 적합등록을 받아야 합니다. 전동킥보드는 2가지 경우에 따라 적용되는 인증이 달라집니다. ① 배터리 사용 - 배터리를 전원으로 동작하는 제품의 경우 지정시험기관 적합등록을 받아야 합니다. 배터리를 부착하고 충전이 가능한 경우에 적용되며 시험소에 샘플을 제출하여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② 배터리 교환형 - 배터리 교환형 제품의 경우 자기적합확인으로 진행이 가능합니다. 즉, 배터리를 탈착해서 충전을 하는 제품은 자기적합확인대상입니다. - 자기적합확인 대상 제품의 경우 2가지 방법으로 진행이 가능합니다. ⓐ 제품 검사
- 승인 시험 기관을 통해 제품검사를 받아 인증을 취득하는 방식입니다.
- 시험을 통해 자기적합확인을 받는 경우 인증서와 인증번호가 발급이 됩니다.
ⓑ 해외성적서로 신고
- 국내 기준을 만족하는 해외성적서로 대체하여 추가 시험 없이 신고로 인증을 취득하는 방식입니다.
- 해외성적서로 대체하는 경우 비용 및 기간이 단축되나 인증서와 인증번호가 발급되지 않습니다.
- 단, 승인된 시험소를 통해 발급된 해외성적서로 신고 진행 시 인증서/인증번호가 발급됩니다.
- 자기적합확인으로 인증을 취득한 경우 매년 진행 되는 사후 관리에 따라
비치 서류 제출 (성적서, 확인서, 외관도, 부품배치도 등)을 요청받을 수 있습니다.
- 당사에서는 비치 서류를 추가 제작하여 제공해 드리고 있습니다.
신고 후 전달 드린 인증서 외 비치 서류를 보관하시면 되며 제출 요청을 받을 시 제공하시면 됩니다. 해외성적서로 진행 시 외관도/부품배치도 제작을 위해 샘플을 요청드릴 수 있습니다.
(성적서에 사진이 있는 경우 별도 요청 없음)
- 무선 기능 (블루투스, 와이파이 등)이 있는 경우 RF, RF-EMC 시험이 추가되며,
무선 사양에 따라 시험 비용 및 절차가 달라집니다.
- KC 인증 받은 무선 모듈을 사용하는 경우 무선 모듈의 인증 내역에 따라
RF, RF-EMC 시험이 제외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