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품 분석 1. 휴대폰? - 최근에는 스마트폰이라고도 부르며 휴대하고 다니며 전화나 문자와 같은 통신을 할 수 있는 기기를 말합니다. 기본적으로 배터리로 동작을 하며 블루투스, 와이파이와 같은 무선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LTE, 5G 등을 통해 통신 서비스가 가능합니다.
□ 인증분석 - 휴대폰은 배터리를 사용하는 제품으로 직류전원에 대해서만 안내드립니다. - 휴대폰에 사용되는 배터리는 반드시 KC 인증 받은 것을 사용해야 합니다. KC 인증 받은 배터리가 아닌 경우 별도의 배터리 인증 또는 교체가 필요합니다.
1. 전기용품 - 휴대폰은 전원과 관계 없이 '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전관리법'에 따라 공급자적합성확인 대상입니다. - 단, 배터리로만 동작을 하는 제품은 적용대상에서 제외가 됩니다. (충전기로 충전하는 중에 동작을 하지 않는 경우 대상 제외) - 모든 핸드폰은 아답터 (충전기)로 충전하면서 동작을 하기 때문에 무조건 대상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 공급자적합성확인 대상 제품은 제품 검사 후 한국제품안전관리원에 신고하여 확인서를 발급 받아야 합니다. 별도의 인증서나 인증 번호 없이 확인서와 성적서만 발급됩니다. - 공급자적합성확인 대상 제품은 국내 기준을 만족하는 해외성적서가 있는 경우 시험 없이 신고로 대체가 가능합니다. - 시험 없이 신고로 진행 되는 경우 기간 단축 및 비용 절감이 가능합니다.
2. 전자파 - 전원과 관계 없이 ‘전파법’ 및 ‘방송통신기자재등의 적합성평가에 관한 고시’에 따라 적합등록을 받아야 합니다. - 휴대폰의 경우 무선 기능이 있는 제품으로 다양한 무선 모드를 가지고 있습니다. 블루투스, 와이파이, LTE, 5G, WCDMA 등 여러 종류의 무선 모드를 사용하는 제품으로 전자파 인증 진행 시 RF, RF-EMC, EMC를 받아야 합니다. 무선 모드의 개수에 따라 비용이 책정되기 때문에 정확한 무선 모드 확인이 필요합니다. [무선모드] - KC 인증 받은 무선 모듈을 사용하는 경우 무선 모듈의 인증 내역에 따라 RF, RF-EMC 시험이 제외 됩니다.
3. 전자파 흡수율 (SAR) - 휴대폰의 경우 아래 기준에 따라 전자파 흡수율을 받아야 합니다. "안테나 공급전력이 20㎽를 초과하고 인체로부터 20cm 이내에 위치하는 휴대용 송신 무선설비" - 전자파 흡수율은 전신, 머리/몸통, 사지로 나누어 검사를 받게 됩니다. - 안테나, 무선 모드, 사용 부위에 따라 비용이 책정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