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품 분석
1. 스마트워치?
- 무선 통신 기능을 기반으로 스마트폰과 연동되어 시간을 확인하는 용도 외에도
메시지 전송이나 일정관리 등의 서비스를 지원하는 시계를 말합니다.
□ 인증분석
- 스마트워치는 전자시계로 분류가 되며 휴대용 제품으로 일반적으로 배터리를 사용하여 동작합니다.
- 스마트워치에 사용되는 배터리는 KC 인증 받은 것을 사용해야 합니다.
- 배터리를 사용하는 제품을 기준으로 아래와 같이 안내드립니다.
1. 직류전원
1) 전기용품
- 직류 (DC) 전원을 사용하는 제품은 '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전관리법'에 따라
전기용품 안전관리 대상에서 제외 됩니다.
2) 전자파
- 직류 전원을 사용하는 제품은 '방송통신기자재등의 적합성평가에 관한 고시'에 따라 지정시험기관 적합등록을 받아야 합니다.
- 지정시험기관 적합등록의 경우 전자파 시험소를 통해 제품 검사 후 인증서를 발급 받아야 합니다.
- 스마트워치는 일반적으로 블루투스나 와이파이와 같은 무선 기능을 통해
스마트폰 등과 연동하여 동작을 합니다.
따라서 전자파 인증 진행 시 RF, RF-EMC, EMC를 받아야 합니다.
만약, 무선 기능 없이 동작을 하지 않는 경우 EMC는 제외가 됩니다.
(심박수 / 걸음 수 측정 등 단순 측정/계측 기능은 EMC 적용 대상이 아닙니다.)
- 제품에 사용하는 무선 모듈이 KC 인증 받은 경우 무선 모듈의 인증 내역에 따라
RF, RF-EMC 시험이 제외 됩니다.
- 무선 모드에 대해서는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무선 모드 (블루투스, 와이파이)
3) 전자파 흡수율 (SAR)
- 스마트워치과 같이 무선 기능이 있으며 신체에 접촉하여 사용하는 제품은 전자파 흡수율 시험도 진행을 하셔야 합니다.
- 전자파 흡수율은 공중선 전력이 20 ㎽를 초과하고 통상 이용 상태에서 전파 발사 중심점이 인체로부터 20 cm 이내에 위치하는
휴대용 송신 무선설비(무선설비를 내장한 방송통신기자재를 포함한다)에 적용되는 시험 입니다.
- 일반적으로 블루투스나 와이파이를 사용하는 스마트워치의 경우 공중선 전력이 낮아
전자파 흡수율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 단, LTE나 와이파이 5 G 이상의 무선 기능을 사용하는 경우 공중선 전력이 높아 전자파 흡수율을 받아야 합니다.
- 전자파 흡수율은 안테나 개수, 무선 모드 등에 따라 비용 및 절차가 달라집니다.